[퍼포먼스 마케팅 스쿨 4기 스터디노트]-GA4

2024. 3. 14. 19:32카테고리 없음

Cookieless시대로 쿠키에 대한 정확성은 점점 낮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Google Analytics4는 앱에서의 클라이언트 아이, 웹에서의 디바이스 아이디, 로그인 유저 아이디 이 3가지를 조합해서 사용자들을 집계하는 정확도를 높히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또한 잠재고객을 활용하여 각각의 타겟을 맞춰 다른 매체들을 소구할 수 있는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유저별로 화면에서 보이는걸 다르게 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는 것입니다.

강의 목적

 

GA4에서 사용하는 용어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용자(Users)-브라우저 쿠키 ID, Device정보, 구글 시그널 데이터, 로그인 ID를 기존 데이터와 결합하여 사용자를 집계

소스/매체(Source/Medium)-어떤 경로(naver)를 통해, 어떠한 방식(search)으로 유입되었는지를 구분. naver/search

쿠키(Cookie)-브라우저 방문자의 다양한 정보(어떤 브라우저, 어떤 기기, 이전 페이지 정보 등)가 담긴 작은 파일. 쿠키 내 클라이언트 ID는 웹 사용자 집계 기준

이벤트(Event)-고객이 방문하여 일으키는 모든 행동 집계 기준. page_view, first_visit, session_start 등

전환(Conversion)-고객이 일으킨 이벤트 중 기대하는 목표 액션 달성 여부를 측정. 회원가입, 구매완료 등

세그먼트(Segment)-유사한 사용자 특징을 공유하는 사용자 집단. CRM 통해 구매한 유저, 광고 통해 구매한 유저

측정기준은 데이터의 속성 및 특징

기본 채널 그룹이란 소스/매체 내 룰을 적용하여 더 상위에 있는 그룹 채널

 

<-측정항목은 정량적 측정 요소

 

 

 

 

첫 사용자 소스/매체는 First_visit이벤트를 가지고 있는 유입(첫방문)만 측정하지만 세션 소스/매체는 Session_start 이벤트를 가지고 있는 유입(첫방문 및 재방문) 모두 측정

First User Default Channel Group(신규 사용자 기본 채널 그룹)은 First User Source/Medium(첫 사용자 소스/매체)내에 룰을 적용함

Session Default Channel Group(세션 기본 채널 그룹)은 Session Source/Medium(세션 소스/매체) 내에 룰을 적용함

유입 볼륨 지표는 New Users, Users, Session, Engaged Session

 

신규 유저 (not engaged)

재 방문 유저(engaged)-채널 두개 방문

재 방문 유저(engaged)-채널 하나에서 10초이상 유지

 

유입 볼륨 지표: 유입의 규모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들

  • New Users(새 사용자 수): 첫번째 방문 기록을 보유한 유저 수
  • Users(사용자): 중복을 포함하여 집계하는 유저 수
  • Session(세션 수): 유입 수
  • Engaged Session(참여 세션 수): 페이지 2회이상 조회하거나,10초 이상 머무른 세션 수
New Users Users  Session Engaged Session
1 3 3 2

 

유입 퀄리티 지표는 Engagement Rate, Engaged Session Per User, Average Engagement Time Per Session

유입 퀄리티 지표: 유입 볼륨 대비하여 유입 퀄리티 비중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들

  • Engagement Rate(참여율)=(Engaged Session/Session)
  • Event Per Session(세션 당 이벤트 수)
  • Engaged Session Per User(사용자 당 참여 세션 수)
  • Average Engagement Time Per Session(세션 당 평균 참여 시간)
Session Engaged Session Engagement Rate(%) Events Per session Engaged Session Per User Average Engagement Time Per Session
3 2 2/3 4/3 2/3 5min 00s

cf. Bounce Rate 는 참여하지 않은 비율(Not Engaged Session/Session):30%-창을 켰다가 바로 꺼버리는 경우 

Exit은 해당 페이지가 마지막이었던 횟수로 해당 페이지가 다음페이지로 넘어갈 수 있는 흥미있는 클릭 요소가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역할

 

Shopping cart View가 1이고, Exit가 1인 것으로 보아 장바구니까지 담아 놓고 페이지를 나간 것이다. 이 결과를 보고 왜 구매까지 이어지지 않았는지 파악한다.

 

 

Session은 유입 수를 뜻합니다. DAU는 1일 동안 유입자 수/ WAU는 이전 7일 동안 유입자 수/ MAU는 이전 30일 간 유입자 수/ Active Users는 n일 동안 중복 제거 Daily Active Users, Weekly Active Users, Monthly Active Users

Engagement > Overview 내 보고서 지표

 

-WAU/MAU: 최근 30일 방문 유저 대비 최근 7일 1회 이상 방문 유저는 얼마나 되는가->4월 5일 시점 기준,100명 기준으로 최근 7일 (3/29~4/5)방문 유저 28명 방문

-DAU/WAU: 최근 7일 방문 유저 대비 매일 방문 유저는 얼마나 되는가->4월 5일 시점 기준,100명 기준으로 매일(3/29~4/5) 26명 방문

-DAU/MAU: 최근 30일 방문 유저 대비 매일 방문 유저는 얼마나 되는가->4월 5일 시점 기준, 100명 기준 매일(3/5~4/5) 7명 방문

                                                                                                 

                                       4월 5일 관점에서 4월 12일이 된 때의 그래프이다                                                       

 

-WAU/MAU: 최근 30일 방문 유저 대비 최근 7일 1회 이상 방문 유저는 얼마나 되는가->4월 12일 시점 기준,100명 기준으로 최근 7일 (4/5~4/12)방문 유저 32명 방문

-DAU/WAU: 최근 7일 방문 유저 대비 매일 방문 유저는 얼마나 되는가->4월 12일 시점 기준,100명 기준으로 매일(4/5~4/12) 17명 방문

-DAU/MAU: 최근 30일 방문 유저 대비 매일 방문 유저는 얼마나 되는가->4월 12일 시점 기준, 100명 기준 매일(4/5~4/12) 5명 방문

 

=>변화하는 항목들을 보고 싶을 때는 DAU/MAU를 먼저 보면 된다고 합니다. 4/5에는 17명이었는데 4/12에는 5명밖에 되지 않는걸 보고 수치가 왜 줄었는지 판단하는 목적이 그로스 해킹, 그로스 사업을 선정하기 위한 원인을 찾는 곳이라고 보면 됩니다. (DAU/MAU는 < WAU/MAU*DAU/WAU >이기 때문입니다. 일단 성장과 하락를 파악하고 각 지표들을 확인합니다.

그래프를 보고&nbsp; 수 있는 비즈니스 질문

  • 1주차 대비 2주차에 DAU/MAU가 감소하였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 Paid 및 Non Paid유입은 어떻게 달라졌는가?
  • First User Default Channel Group 유입은 어떻게 달라졌는가?
  • Session Default Channel Group유입은 어떻게 달라졌는가?

세그먼트

세그먼트 범위란 세그먼트 조건을 구분 짓는 기준 조건을 의미합니다. 

  • 사용자 범위: 이벤트 2를 만족하는 사용자1의 모든 데이터 집계
  • 세션범위: 이벤트 2를 만족하는 세션1의 모든 데이터 집계
  • 이벤트 범위: 이벤트2 그 자체만 집계

ex) 이벤트 2에 대한 필터를 걸었을 때 세션은 3개가 나오고 사용자 1로 집계됩니다.(모든 세션)

     조건을 세션 범위로 해놓고 필터조건을 이벤트 2로 했을때 범위는 세션1, 사용자 1로 집계됩니다.(세션 2, 세션3 제외)

3월20일~4월 18일 날짜에 사용자 기준 google/organic 검색 경험이 존재하는 사용자범위를 알고 싶을 때

사용자 범위 세그먼트: Session Source/Medium=google/organic

보고서: Free Form

측정 기준: Session Source/Medium    측정 항목: Session, Users

google/organic을 통해 들어온 사용자에 대한 모든 세션이 잡히게 됩니다.

  3/20 3/21 3/22
1st 세션 구글 네이버 페이스북
2nd 세션 인스타 구글 유튜브
3rd 세션 다음 네이버 구글

구글을 통해 들어온 날짜는 3/20, 3/21, 3/22 이고 1,2,3세션으로 집계됩니다. 이걸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은데 

소스 세션
네이버 2
인스타 1
구글 3
페이스북 1
유튜브 1
다음 1

구글로 들어온 사용자의 모든 경로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죠.

3월20일~4월 18일 날짜에 위와 같은 조건으로 사용자 기준 google/organic 검색 경험이 존재하는 세션 범위를 알고 싶을 때

소스 세션
구글 3

 

'At any point in time'을 체크하면 현재에도 그 조건을 만족하는 것만 필터링 하는 것입니다. 체크하지 않으면 현재에는 그 조건을 만족하지 않지만 과거에 조건을 만족했던 경험이 있었는데 그것도 포함합니다.

각종 매체와 디스플레이 광고 등을 통해서 우리의 브랜드를 알렸다고 가정을 했을 때, 우리의 브랜드에 관심이 있어서 검색하는 경우 방문을 했음에도 구매하지 않았을 세그먼트가 생깁니다. 그 세그먼트를 파악해 잠재고객으로 판단하여 구글애즈 광고를 집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람들을 혼합범위를 사용해서 구하는데요. 

보라색은 검색경험과 구매경험 모두를 갖고 있는 범위

  1. 파란색+보라색: 검색경험이 있는 세그먼트
  2. 빨간색+보라색
  3. 파란색만: 검색경험을 가지고 있고 구매하지는 않은 세그먼트
  4. 보라색만

Build an audiunce 클릭하면 이 잠재고객에 대해 광고 집행 가능 기본값 30일, 최대 540

  • Exclude from segment temporarliy: 30일 이내 구매경험이 없는 세그먼트 제외
  • Exclude from segment permanetly: 아예 구매경험이 없는 세그먼트 제외

제로베이스 강의를 따라 만든 혼합 범위 입니다.

segment overlap으로 혼합범위를 만듭니다.

cohort exploration은 방문 유저가 그 다음에도 방문했는지 알 수 있는 채널입니다.


잠재고객

관리->잠재고객 경로 통하여 잠재고객 구성 가능

세그먼트와 잠재고객의 차이

잠재고객 트리거: 핵샘 맥락을 구성하는 행동 그룹을 정의하고 이벤트로 집계. 즉, 구매하진 않지만 사용자들이 채널에서 구매를 고민하는 액션들을 만들어 그걸 하나의 이벤트로 집계하는 것이다.

page path+quary string: 처음에 랜딩을 하고, 그 랜딩을 포함하는 페이지뷰를 조회한 케이스

'/(슬래쉬)': 처음에 랜딩을 하고 다른 페이지로 들어갔을 때 이후의 값들이 파라미터 형식으로 붙게 되는데 예를 들어 처음에는 홈으로 들어왔다가 장바구니로 들어간 케이스 그 사이를 슬래쉬(/)로 나타냅니다. 

page title: 아래와 같이 위에 뜨는 이름을 나타낸 것

page title

views per session: 방문해서 얼마나 많은 페이지를 일으켰는지, 즉 랜딩페이지가 광고컨텐츠와 얼마나 잘 맞았는지, 어떠한 광고 소재가 더 많은 탐색을 일으키는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는 목적

Average session: 유입 퀄리티

view per session: 세션을 일으키고 얼마만큼의 페이지 조회를 일으켰는지

Engaged session/Session=Engagement rate

1-Engagement rate-=Bounce rate(Engagement를 일으키지 못한 세션, 유입후 페이지뷰를 2회이상 일으키지 않거나 10초이상 머무르지 않은 비율)

제로베이스 강의자료

제로베이스 강의 자료를 활용해 필터까지 걸어 둔 상태입니다.

 

 

 

 

 

 

수치 해석을 해보면, 

Email을 통해 랜딩페이지로 들어왔고 1과 2가 다른 버튼을 눌러 페이지로 들어온걸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어떤 광고 형식이 유입 퀄리티가 더 높은지 알아볼 수 있습니다.

1을 보면 Session이 13으로 13번의 방문이 일어났는데 Engaged session이 13으로 참여 세션률은 100%로 보이는 반면,

2에서는 Session이 15이지만 Engaged session이 12로 Engagement rate가 1보다 낮은 80.0%임을 보입니다. 

이것으로 봤을 때, 1의 방법으로 광고했을 때 유입 퀄리티는 더 높아보입니다. 다만 2에서의 Purchase가 더 높기 때문에 구매자의 수를 더 높이고 싶다면 2의 방법으로, 신규 고객의 수를 더 높이고 싶다면 1의 방법으로 광고를 집행하는게 좋아보입니다.

session으로 본 수치들입니다.

First User Source/Medium(첫 사용자 소스/매체)와 Session Source/Medium(세션 소스/매체) 두 부분 모두 1의 방식으로 유입된 광고형식에서 높은 광고 효율이 나는 것으로 보아 1의 방법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광고할 것입니다.


경로 탐색과 유입 경로 탐색 분석

구분 경로 탐색 유입 경로 탐색
역할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
구조적인 프로세스를 필터링
내가 설정한 경로의 진입율 파악
장점 조작이 쉽고, 많은 조작이 필요 없다 내가 설정한 필터값에 따라 자세한 인사이트 도출 가능
단점 상세한 인사이트를 확인하기 어렵다 난이도가 있고 설정이 필요

경로 탐색(Path exploration): 어디에서 시작해서 어디까지 갔는지 루트를 따라가며 확인이 가능하고 최종 목적지에서부터 시작 페이지까지로의 반대 루트 또한 확인이 가능합니다.

유입 경로 탐색(Funnel exploration): 알고싶은 Step을 직접 설정해가며 확인이 가능합니다.

view unique nodes only

view unique nodes only: 중복을 제외한 경로로 만약 장바구니에서 상세페이지로 갔다가 다시 장바구니로 간 경우 장바구니는 1번으로 집계됨. 


동질 집단 탐색 분석(코호트 분석): 동일 기간 내 공통된 경험을 지낸 고객 집단/ 신규 사용자 채널 그룹 통해 신규 마케팅 대상자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지 확인

 

 

COHORT INCLUSION: 공통된 경험을 정의하는 시작

RETURN CRITERIA: 재전환을 일으키는 필터조건

METRIC TYPE: 절댓값으로 할건지 RATE로 할건지 볼륨의 증가를 정의하는 필터                        역할

 

 

 

 

 

 

 

 

 

 


정규식의 정의와 역할

정규 표현식: 문자열(string)에서 특정 문자를 찾는데 활용하는 형식

문자 정규식 문자 설명 정규식 예시 일치하는 문자
| 또는 A|B AA, BA, BB
\(원화 기호 누르면 됨) \뒤의 문자는 기호 그대로 해석 www\. www.abc.com
^ 시작 값 일치 ^GA GA 360, GA standard
$ 끝 값 일치 ment$ movement, achievement
() 같은 순서로 포함된 문자 또는 그룹화 (big|small) big, small, bigsize, ex small
. 글자, 숫자 또는 기호 등과 일치함 ...GA(점의 개수만큼 글자) AAAGA, ABCGA
[0-9]{N} N의 자리와 일치함 [0-9]{4} 1234, 5678, 1010

 

실습 문제를 강의와 함께 풀어보았습니다.

1. /Google+Redesign/Lifestyle/Bags과 /Google+Redesign/Lifestyle/Drinkware 페이지 조회수

2. Paid 매체로 시작하는 세션을 집계(Paid Search, Paid Shopping, Cross-network, Display, Affiliates, Email)-돈을 들여 데려온

matches regex: 정규식 적

3. Non Paid 매체로 시작하는 세션을 집계(Direct, Organic Search, Organic Shopping, Organic Social, Organic Video, Referral, Unassigned)

이전에 세션범위로 지정해 둔 Paid 매체를 제외한 것이 non paid 매체이므로 exclude from segment에서 앞이랑 똑같이 지정해주면 좀 더 빠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4. G로 시작하고 끝 숫자가 4자리인 Item id 로 시작하는 아이템 조회 횟수를 집계

이벤트 범위 설정


이번 시간에는 GA4에 대해서 배워보았습니다. 실습도 같이 따라하면서 진행하니까 강의 진행이 더딘데 한 번쯤은 이해를 하고 넘어가는게 좋을 것 같아 차근차근 나아가보기로 했습니다! 강의 진도가 끝나면 다시 복습을 해봐야겠네요.다음 글에서는 한국의 플랫폼에서는 빠질 수 없는 카카오모먼트와 네이버 GFA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이 글은 제로베이스 퍼포먼스 마케팅 스쿨의 강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